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중국어 방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네드 블록: 시스템 논변 === 본래 [[튜링 테스트]]의 유용성을 반박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고 실험이지만, [[슈뢰딩거의 고양이|오히려 튜링 테스트에 대한 이론을 풍부하게 했다.]][* 이 문장이 슈뢰딩거와 링크되어 있는 이유는 슈뢰딩거도 같은 사건을 벌였기 때문이다. 슈뢰딩거가 '슈뢰딩거의 고양이' 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사고실험을 고안한 이유는, 양자 역학의 코펜하겐 해석을 비판하고 그 허점을 지적하기 위해서였다. 그런데 이 사고실험이 굉장히 유명해지면서, 슈뢰딩거의 의도와는 반대로, 오히려 이 실험이 코펜하겐 해석을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되어 버렸다.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슈뢰딩거가 양자역학 자체를 부정한 것은 절대 아니고 양자역학의 창시자 중 1명이다.] 이에 대한 수많은 변론은 미래학자 [[레이 커즈와일]]의 저서 《[[특이점]]이 온다》에 아주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. 해당 서적에 제시된 변론들 중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네드 블록(Ned Block) 등이 주장한 '''시스템 논변(systems reply)'''이 있다. 만일 중국어 방에서 완벽한 중국어가 나온다면, 그 과정이 무엇이 되었든 간에 그것은 하나의 "시스템([[계#s-1.2]])"이며, 곧 시스템 단위로 봤을 때는 중국어를 할 줄 안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. 즉 참가자는 중국어를 전혀 할 줄 모르지만, '방'은 중국어를 할 줄 안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며, 이는 인간 뇌와 [[뉴런]]의 관계와 같다. 매 순간마다 뉴런 내에서 벌어지는 수없이 많은 화학 반응은 [[유물론|전부 물리 법칙에 따라 벌어지는데,]] 화학 작용이 중국어라는 개념을 알고 있을 가능성은 당연히 없다. 하지만 뉴런과 뉴런 사이의 연결을 담당하는 시냅스의 집합인 중국인의 뇌는 중국어를 알 수 있고 완벽한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것이다. 인류는,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의 뇌는 자기가 생각을 하면서도 도대체 자기가 뭐로 이루어졌는지조차 몇만 년을 모르고 지내왔다. 심지어 자기한테서 생각이 나온단 것조차도 [[미라|몰랐고]][* 미라를 만들던 이집트인들은 뇌에서 하는 일이라곤 콧물이나 만드는 거라고 오해했었다. 그래서 시체로 미라를 만들 때 콧구멍에 갈고리를 넣어 뇌를 최대한 파냈다. 마치 뇌 제거를 시체를 단장하기 위해 쓸데없이 긴 손톱이나 발톱을 깎는 정도로 취급한 것.], 감정에 따라 반응하는 심장이 그 역할을 할 거라는 추측 정도가 전부였다. 하지만 사고의 역사는 여전히, 심지어 자기 자신을 이해하지 못해도 계속된다. 인간이란 존재는 진화론적 '시스템'이며, 그 시스템이 해내는 일이 곧 인간의 행동이기 때문이다. 그러므로 설의 중국어 방은 하나의 시스템이며, 따라서 '중국어를 구사하는 시스템'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. 즉 '중국어 방'은 튜링 테스트의 불완전성을 지적하지만, '시스템 논변'은 (튜링 테스트와 유사한 중국어 방의) 결과가 같으면 인간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. 즉 시스템의 구조가 정확히 일치하는가보다는 결과의 정확성에 초점을 맞추는 셈이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